바둑대회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대진 일정 결과

하루한판 2023. 7. 30. 00:29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신예기사들의 등용문인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이 7월 29일 64강전 대국을 시작으로 개막에

들어가게 되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이붕배는 지난해 한우진 4단이 우승을 차지하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며

국토정중앙배, 글로비스배를 연거푸 차지했고 이를 계기로 초고속 9단에 오르며 정상권 기사로

발돋움 하기 시작했다.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은 본선 64강 단판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본선 출전권은 2020년 이후

입단한 프로기사에 부여하고 64명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 나이가 어린기사 순으로 충원하게 된다.

올해부터는 피셔룰을 적용해 제한시간 30분에 추가시간 30초가 주어지며 우승상금은 1000만원,

준우승상금은 500만원이다.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개요

주최 주관 :  한국기원

후원 : 이붕장학회, (주)삼원일모

출전자격 : 2020년 이후 입단기사 + 나이 어린순 충원

대회기간 : 2023년 7월 28일 64강전 ~ 8월 22일 준결승, 결승전은 9월경

대회방식 : 본선 64강 단판 토너먼트

대국방식 : 덤 6.5집 한국룰, 제한시간 30분 추가 30초(시간누적방식)

대회상금 : 우승 1천만원, 준우승 5백만원

 

역대 우승자

1회 문유빈, 2회 김범서, 3회 한우진

반응형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대진 일정 결과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대진표1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대진표1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대진표2
제4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대진표2

 

7월 28일 12시 64강전 대진 결과

최은규 3단 vs 주치홍 3단 결과 최은규 승

신동현 1단 vs 임진욱 3단 결과 신동현 승

최민서 3단 vs 이연 5단 결과 최민서 승

박신영 4단 vs 김정현 1단 결과 김정현 승

정우진 3단 vs 이의현 3단 결과 이의현 승

윤다우 1단 vs 허영락 4단 결과 허영락 승

정유진 4단 vs 오병우 5단 결과 오병우 승

윤라은 1단 vs 양민석 3단 결과 양민석 승

 

우승후보로 꼽히는 이연과 박신영이 최민서와 김정현에 덜미를 잡히는 이변이 발생했고

늦깍이 신예 허영락은 노련미?를 발휘하며 첫판을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홍석민 1단 vs 이서영 1단 결과 이서영 승

유주현 2단 vs 김승구 1단 결과 김승구 승

엄동건 1단 vs 문민종 6단 결과 문민종 승

김승진 3단 vs 이승민 1단 결과 김승진 승

김경은 4단 vs 김윤태 3단 결과 김윤태 승

박지현 4단 vs 허재원 3단 결과 박지현 승

조종신 1단 vs 윤희우 1단 결과 조종신 승

김민서 3단 vs 최승철 1단 결과 최승철 승

 

작년 12월에 입단한 소녀기사 이서영 초단이 32강에 올랐고 루키같지 않은 바둑리거 문민종도

승리를 거두며 32강에 입성해 유력한 우승후보로 떠오른 상황이다.

또한 지난 건기배 본선에서 활약한 김승구 초단도 승리를 거두게 되었고 우승권 후보중 1인인

박지현 4단도 첫판을 승리로 장식하게 되었다.

 

김민지 1단 vs 최정관 2단 결과 최정관 승

원제훈 3단 vs 기민찬 1단 결과 원제훈 승

정준우 1단 vs 한우진 9단 결과 정준우 승

이나경 1단 vs 주현우 1단 결과 주현우 승

김현빈 3단 vs 임채린 1단 결과 김현빈 승

이상빈 1단 vs 임경찬 1단 결과 임경찬 승

권효진 6단 vs 김유찬 2단 결과 권효진 승

이슬주 2단 vs 임의현 1단 결과 임의현 승

 

이번대회 참가자중 유일한 입신이자 전기우승자 한우진 9단이 2008년생 정준우 초단에

완패를 당하는 이변이 연출되었다. 경적필패라~

덕분에 권효진 6단이 4강 진출이 유력하지 않을까 싶다.^^;

 

유창주 3단 vs 김상인 3단 결과 유창주 승

김세현 4단 vs 고윤서 1단 결과 김세현 승

김은지 6단 vs 박동주 3단 결과 김은지 승

김성재 2단 vs 오승민 2단 결과 오승민 승

고미소 1단 vs 김범서 5단 결과 김범서 승

벅소율 3단 vs 이정준 1단 결과 이정준 승

서준우 1단 vs 김기언 1단 결과 김기언 승

곽원근 4단 vs 김다빈 1단 결과 김다빈 승

 

타이젬 강자?이자 아마추어인 닉네임 신도순과 스파링을 자주 두었던 김세현이 승리를 거뒀고

김은지는 같은 날 열린 여자최고기사 결정전 패자결승 대국관계로 7월31일 12시로 연기 되었다.

2회대회 우승자인 김범서도 32강에 입성하게 되어 김은지와 김범서가 4강을 놓고 다툴 것으로

예상된다.

 

 

7월 31일 12시 32강전 대진 결과

최은규 3단 vs 신동현 1단 결과 신동현 승

최민서 3단 vs 김정현 1단 결과 김정현 승

이의현 3단 vs 허영락 4단 결과 허영락 승

오병우 5단 vs 양민석 3단 결과 오병우 승

 

허영락과 오병우는 예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16강에 진출했고 신동현과 김정현은 초단의

기력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승리를 거두며 16강 진출에 성공하게 되었다.

 

이서영 1단 vs 김승구 1단 결과 김승구 승

문민종 6단 vs 김승진 3단 결과 문민종 승

김윤태 3단 vs 박지현 4단 결과 박지현 승

조종신 1단 vs 최승철 1단 결과 조종신 승

 

강자로 평가받는 김승구, 문민종, 박지현이 모두 승리하며 16강에 진출.

 

최정관 2단 vs 원제훈 3단 결과 원제훈 승

정준우 1단 vs 주현우 1단 결과 정준우 승

김현빈 3단 vs 임경찬 1단 결과 임경찬 승

권효진 6단 vs 임의현 1단 결과 권효진 승

 

한우진 9단을 꺾고 대회 최대 이변을 연출했던 정준우 1단이 이번에도 승리를 거두며 운이

아니었음을 입증했고 우승후보 권효진 6단도 16강 진출에 성공하게 되었다.

 

유창주 3단 vs 김세현 4단 결과 김세현 승

김은지 6단 vs 오승민 2단 8월1일 12시 결과 김은지 승

김범서 5단 vs 이정준 1단 결과 김범서 승

김기언 1단 vs 김다빈 1단 결과 김기언 승

 

7월31일 열린 김은지와 박동주의 64강전에서 김은지가 승리하며 오승민 2단과 하루 연기된

8월1일 32강전을 치르게 되었고 제2기 우승자 김범서 5단도 16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8월 2일 12시 16강전 대진 결과

신동현 1단 vs 김정현 1단 결과 김정현 승

허영락 4단 vs 오병우 5단 결과 오병우 승

A조에선 이연, 박신영, 허영락등의 강자가 모두 탈락한 가운데 김정현과 오병우의 대결로

4강진출자를 가리게 되었다.

 

김승구 1단 vs 문민종 6단 결과 문민종 승

박지현 4단 vs 조종신 1단 결과 박지현 승

B조는 이변없이 우승후보 문민종과 박지현이 8강서 진검승부를 펼칠 예정~

 

원제훈 3단 vs 정준우 1단 8월9일 10시 결과 정준우 승

임경찬 1단 vs 권효진 6단 결과 권효진 승

 

김세현 4단 vs 김은지 6단 8월3일 12시 결과 김세현 승

김범서 5단 vs 김기언 1단 결과 김기언 승

 

8월 16일 13시 8강전 대진 결과

김정현 1단 vs 오병우 5단 상대전적 없음 결과 195수 종료, 김정현 흑 불계승

문민종 6단 vs 박지현 4단 상대전적 4승1패 결과 225수 종료, 문민종 흑 불계승

김세현 4단 vs 김기언 1단 상대전적 없음 결과 249수 종료, 김기언 흑 불계승

14시 권효진 6단 vs 정준우 1단 상대전적 없음 결과 277수 종료, 권효진 흑 1.5집승

 

8월 22일 준결승 대진 결과

13시 김정현 1단 vs 문민종 6단 상대전적 없음

결과 236수 종료, 문민종 백 불계승

14시 김기언 1단 vs 권효진 6단 상대전적 1승2패

결과 232수 종료, 김기언 백 불계승

 

김기언 1단이 우승후보 권효진 6단을 시종일관 압도하며 승리를 거두고 결승에 진출한 것이

놀랍다. 김기언은 지난해 말에 영재입단대회를 통해 프로입단에 성공한 이제 8개월차 프로기사로

중국 지린성 출신의 중국동포 출신이며 2007년생이다.

이제 신예 티를 벗어난 문민종 6단과 완전 신예인 김기언 1단의 결승전 결과가 궁금해진다.^^

 

결승전 대진 결과

9월18일 월요일 14시 문민종 6단 VS 김기언 1단 상대전적 없음

결과 224수 종료, 문민종 백 불계승